오스만리 카페 레스토랑 (Osmanli Cafe Restoran)

도착한 저녁, 간단하게 요기나 할까 그리고 잠깐 도시 구경에 나섰다.

많이 보이는 작은 레스토랑, 터키는 전통 레스토랑이 따로 없고 이런 작은 분식 가게에서 여러가지 음식을 판다.

Osmanli Cafe Restoran

적당히 보이는 가격이, 그냥 먹을 만해보인다.

Osmanli Cafe Restoran 2

플로리안은 Iskender 되너 텔러를 주문하고, 난 그릴한 새우가 들어간 음식을 시켰다.

이때 이들의 트릭을 알아채려야 했는데, 제대로 가격이 보이지 않는 나의 음식.

얼마냐고 물어봤을 때 그들은 영어를 못하는 듯한 보이는 종업원을 나에게 보냈는지, 분명 2-3유로 정도 가격으로 이야기 됐는데, 나중에는 이걸 새우 5개로 이해했다고 함.

Foods at Osmanli Cafe Restoran
Foods at Osmanli Cafe Restoran
Foods at Osmanli Cafe Restoran 2
Foods at Osmanli Cafe Restoran 3

곁에 안탈야에서 유명한 오렌지와 석류를 갈은 과일 주스 주문.

Oranges and Granadaapfel
Granadaapfel
Fruit Juice at Osmanli Cafe Restoran

식탁밑에서 하나 둘씩 모여든 동네 고양이들. 먹을 것을 좀 줄까 기다리고 있다. 바다 가까이 사는 지중해에는 고양이가 유독 많다.

Cats
Cats

음식의 맛은 이제껏 먹어본 새우 맛 중 최고라 자부할 만큼 맛있었는데, 이제부터 문제가 시작된다. 음식을 먹고 계산하려고 하는데 터무니 없는 나의 음식 가격을 가지고 온 것.

Overprice at Osmanli Cafe Restoran

새우 1개 가격이 13.000원 정도되고 5개 먹었으니 5개 가격 만큼 내야 한다고.

이런 미친 사람들을 보았나. 그것 뿐만 아니라 자기 레스토랑 스스로 서비스 가격 측정하여 더하였다. 역시나 독일있다 터키 가니 너무 순진해 있었던 걸까. 어이 없는 이 나라 정서와 문화를 2006년에 경험하고 잠시 까먹었나 보다. 관광객을 속이는 것이 굉장히 보편화 되어 있는 이곳.

관광객이 봉인줄 아나보다. 도저히 대화의 끝은 보이지 않고, 자기 만의 논리로 주장한다. 이 점보 새우는 굉장히 비싸고, 캐나다에서 왔단다. 사실 새우가 이곳에서 비싸다는 것은 나중에 알았으나 이러한 가격은 말도 안되는 것. 하물며 독일보다 비싸단 말인가. 도착한 첫날 저녁 싸움은 하기 싫고, 가격을 내고 기분 나쁘게 숙소로 갔다.

사실 이 레스토랑은 이런 사기로 관광객에게 돈 뜯어먹는 걸로 정통이 나있다. 투어리스트 오피스에 가서 이 상황을 보고 하고, 사진을 프린트하고 편지를 써서 터키 문화 관광부에 썼다. 이 글을 읽는 어느 누구든 거기엔 절대 가지 말라고 충고하고 싶다. 사기꾼 처럼 생긴 종업원과 주인도 짜증난다.

담당자도 이 레스토랑에서 이런 사례를 많이 들었다며, 급히 떠나는 관광객의 사정에 따라 이렇게 무시되고 지나간다고, 얼마나 결과가 진행되어 효과가 날지는 모르겠지만 최선을 다해 결과를 전해주겠다고 한다.

그리고 우리는 경찰서도 갔다. 하지만, 어디서나 이 영수증을 터키사람에게 보여주면 이 레스토랑 신고해야 한다고 말하지만 경찰서 서장은 이 가격이 정상이란다. 참..어이가 없었다.

이렇게 문화가 정의되는 걸까. 그들의 부패와 안일성은 더욱 이러한 행위를 야기시킬 것이다. 터키의 많은 문화와 가치를 낮게보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행태가 더욱 다시는 관광객들에게 이 나라를 오고 싶지 않을 만큼 불신을 준다는 것을 아는지 모르는지 관심없는지…

독일어 단어에는 이런 것이 있다. 동사로 tuerken과 터키 사람들을 가리키는 Tuerken..

tuerken이라는 동사는 ‘사기치다, 남을 속이다’ 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독일어 사전을 찾아보면 이렇게 써있다. 이 단어가 특정한 민족을 가르키기는 하지만, 이 단어가 그들에 대한 차별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사용을 금지해야 한다고. 이 곳 말고도, 다른 곳에도 작은 일이지만 가격으로 수없이 장난하며 관광객을 속이는 경험을 발견하고, 주의를 했다. 어원의 유래는 정확히 맞았다. 이 단어를 만든 선조 독일인도 이러한 경험을 통해 이 단어를 만들지 않았을까.

이런 비슷한 사기를 태국의 방콕에서도 경험했었다. 무슨 투어나 교통 수단을 이용하든 관광객마다 다른 가격을 지불하는. 그냥 모르고 속는 관광객도 있지만, 이렇게 안일하게 있을 수는 없다. 관광객의 힘을 보여줘야 한다.

문화는 선조가 만드는 것이 아니다. 아무리 뛰어난 유명한 문화재가 있으면 뭐하는가. 그 문화 사람들로 인해 실망하여 다시 안오고 싶은데. 문화는 현재 그들이 만드는 것이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